티스토리 뷰


의무경찰은 군입대의 대체수단으로 가장 인기가 많은 복무형태입니다. 왜냐하면, 주거지 주변의 도심지에서 근무가 가능하고, 근무시간 외 휴식과 2개월마다 주어지는 정기 휴가(3박4일)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 1회 이상의 휴무일 외출이 가능하여 사회와의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충북 경의경 300여명 모집에  7200명 이상이 지원했을 정도로 그 인기를 실감하 할 수 있는데요. 경찰청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의무경찰의 높은 경쟁률과 복무기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복무기간은 21개월 이다.

군 복무기간은 21개월로 육군과 해경과 동일한 기간 동안 봉사를 하게 됩니다. 해군은 23개월 공군 및 공익요원은 24개월에 비하면 짧습니다. 의경이 인기있는 이유 중에 하난입니다. 만약, 근무기간이 24개월로 설정되어 있었다면, 지금처럼 경쟁률이 20~30대 1 까지는 안 되었을거라고 생각됩니다.


[2] 취업난 만큼 높은 인기도

위의 요약된 정보를 통해 의경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는데요. 이러한 배경 때문에 작년도 경쟁률은 평균적으로 20대1를 넘어섰고 일부지역에서는 33대 1이 넘는 곳도 등장을 했습니다. 이 비율은 해마다 조금씩 변경이 되는데요. 가장 낮은 해의 경우에는 18:1 정도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에는 학교에 입학하고 재수 또는 반수를 준비하는 학생들보다 의무경찰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스펙보다는 경험을 중시하는 최근 취업 트렌드와도 맞물려 있는데요. 학교를 바꾸기 보다는 효율적인 군복무 환경에서 자기개발에 집중하고자하는 풍토로 이해가 됩니다. 

의경 부대는 전국에 약 20개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지방과 교육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원하는 지역은 복수로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점도 알아두십시요. 또한 모집요강에는 일반과 특기 2가지로 크게 구분이 됩니다. 이 경우도 한 번에 2곳을 동시에 신청할 수가 없습니다.


[3] 지역과 특기 모집을 잘 공략하자

선발과정에서 근주지역 선택은 본인의 거주지와 관계없이 신청을 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부산에 살과 학교는 서울에 다닐 경우, 2개 지역중 1개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앞서 말씀드린 20여곳에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이죠. 그래서 해마다 희비가 갈리는 것이죠


마치 입시전략처럼 눈치껏 지역을 선택해야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반 전형의 자대배치는 희망지역과 다른곳으로 발령이 날 수 있다고 합니다. 반대로 특기전형은 본인이 희망한곳으로 최종 발령이 나게 됩니다.

훈련소 성적이 나의 근무지역을 결정한다. 의경 합격이 결정되면, 약 5개월 후 훈련소에 입소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시험 및 각종 훈련에 임하게 되는데요. 여기서 개인별로 성적과 등수가 결정됩니다. 그리고 우수한 학생의 경우는 최초 지원시 본인이 선택한 지역으로 배치가 되는 구조입니다.



댓글